반응형
유해물질(시멘트, 휘발유 등) 작업 시 특수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는 물질 확인할 수 있는 방법
다들 작업하시기 전에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하는 재료들이 있지요? 시멘트 휘발유 등등
하지만 MSDS는 있지만 어떤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언제 받아야 하는지 MSDS에는 안 나와 있습니다.
제가 알려드리겠습니다.
먼저 MSDS를 열어보십니다.
열어보시면 위에 사진처럼 CAS 번호가 있습니다.
없는 MSDS도 있습니다. 그회사의 제품인데 공개를 안 하는 곳도 있어요 그건 그 회사에 문의를 해야 합니다.
CAS번호를 찾았으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으로 들어갑니다.
이렇게 홈페이지 가 뜰 거예요 그러면 왼쪽 하단에 MSDS/GHS가 있는데 클릭해줍시다. 노란색 표시 잘 따라가시면 수월해요~
딱 보시면 검색란 있죠? 저기에 CAS 코드를 입력
그러면 페이지가 이렇게 넘어가는데 법규 정보에 들어가 시 면끝이납니다.
여기 보이시나요???
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
여기에 24개월 유효기간 검사 내용은 광물성 분진 이렇게 알 수 있게 나오면은 현장 담당 병원이 있습니다. 가셔서 검사받으시면 우편이나 팩스로 진단 결과 날아오니 제출하시면 됩니다^^
다들 건강하고 안전하게 일해주시기 바랍니다.!
반응형
'안전에 관하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입 안전관리자 직무교육 신청 및 교육비 안전관리비 청구 방법.(안전보건관리자 교육) (0) | 2020.10.08 |
---|---|
안전 교육 및 안전 일지 사항에 들어가는 내용 메모 정리 (1) | 2020.10.07 |
한화 손해보험 실비 포함,실비 미포함 회원가입없이 초간단 33초 만에 어플로 청구 하기 (0) | 2020.10.07 |
한화생명보험 어플로 실비 보험금청구 13초안에하기! 간단청구-한화생명 보험월렛 어플-실손 보험금 (0) | 2020.09.28 |
54개 종목 산업기사 필기시험 컴퓨터시험으로 변경 -컴퓨터기반(CBT)으로 전환 (0) | 2020.09.26 |